유럽태권도선수권대회 취재차 프랑스 남부 휴양도시 니스(Nice)에 간 적이 있습니다. 경기가 없는 날 현지 큰사범님과 함께 한 카페를 찾았는데 이런 가격표가 붙어 있었습니다. ㆍCoffee!=7 Euro. ㆍCoffee Please!=4.25 Euro. ㆍHello Coffee Please!=1.4 Euro. 우리 말로 바꾸면 ‘커피’라고 반말하는 사람에게는 1만원을 ‘커피주세요’라고 주문하는 [...]
함께 언론인의 길을 걸어온 벗의 초청을 받아 방문했더니 서재에 걸린 액자속 영문 글귀가 눈에 띕니다. ‘People rarely succeed unless they have fun in what they are doing.’ ‘자기가 하는 일을 즐겨야 성공한다’라고 데일 카네기(Dale Carnegie)가 한 말인데, 가슴에 와 닿습니다. [...]
저 유명한 세익스피어(William Shakespeare)는 말합니다. 'Love looks not with the eyes, but with the mind. (사랑은 눈으로 보지 않고 마음으로 보는 것이다).’ 하루를 시작할 때 가장 먼저 사랑을 생각하십시오. 오늘 누구에게 사랑을 전할까 생각해 보십시오. 하루가 끝날 때 당신에게 남는 [...]
不受苦中苦 불수고중고 難爲人上人 난위인상인 ‘고통중의 고통을 겪지 않았다면, 다른 사람의 윗사람이 되기 힘들다‘는 뜻입니다. 역경 속에 있으면 자기 주변이 모두다 시금석이고 약이라서, 모르는 사이에 절조와 행실을 닦게 되며, 순경 속에 있으면 눈앞이 모두 칼과 창이라서 기름을 녹이고 뼈를 깎아도 알지 [...]
사람들이 지나가는 곳에 사탕바구니를 놓아두었습니다. 한 아이가 주위를 두리번거리다가 그만 사탕을 집어가고 맙니다. 이번에는 사탕바구니 옆에 거울을 두었습니다. 다른 아이가 사탕을 집었다가 거울을 보더니 쥐었던 사탕을 제자리에 되돌려 놓습니다. 거울효과(Mirror Effect)라고, 누군가가 자신을 지켜보면 도덕적인 행동을 하게 된다는 실험입니다. 찰리 [...]
무릇, 나무에 가위질을 하는 것은 나무를 사랑하기 때문입니다. 부모에게 야단을 맞지 않고 자란 아이는 좋은 사람이 될 수 없습니다. 겨울 추위가 심할수록 오는 봄의 나뭇잎은 한층 푸르릅니다. 사람도 마찬가지 입니다. 역경에 단련되지 않고는 큰 인물이 될 수 없습니다. 오늘도 역경에 [...]
‘이제 다만 이 마음을 뉘라 알아줄 것인가. 진등의 백 자 높은 다락에 높직이 누웠노라. (祗今心跡誰能辨 高臥元龍百尺樓)’ 고려말기의 충신 목은(牧隱) 이색(李穡)이 중국 후한 때 사람인 진등(陳登)의 절개와 지조를 흠모해 지은 ‘밤비(夜雨)'라는 시의 한 구절이다. 후한(後漢) 말기 광릉태수를 지낸 진등은 엄격한 법집행과 [...]
과거 초등학교에서는 수우미양가(秀優美良可)로 성적을 매겼습니다. 秀는 ‘빼어날 수’ 자로 ‘특히 우수함’을 이르고, 優는 ‘넉넉할 우’ 자로 ‘역시 우수하다’는 뜻입니다. 美는 ‘아름다울 미’ 자로 ‘좋다’라는 의미도 있고, 良은 ‘좋을 양’ 자로 ‘훌륭하다, 착하다’이며, 可는 ‘가능할 가’로 ‘충분한 가능성을 갖고 있다’라는 말입니다. [...]
소나무 씨앗 두 개가 있었다 하나는 바위틈에 떨어지고 다른 하나는 흙 속에 묻혔다. 흙 속에 떨어진 소나무 씨앗은 싹을 내고 쑥쑥 자라났다. 그러나 바위틈에 떨어진 씨앗은 조금씩 밖에 자라지 못 하였다. "날 보라니까 나는 이렇게 크게 자라는데 너는 왜 그렇게 [...]
촉가을 비보라에 풍경소리 은은한 산사의 누옥에서 턱을 괴고 장자(莊子)가 들려주는 얘기에 심취합니다. 송(宋)나라에 대대로 빨래만 전문으로 해서 먹고사는 집안이 있었는데, 겨울철에도 빨래를 해야 했기 때문에 찬물에도 손발이 트지 않는 ‘불균수지약(不龜手之藥)’이라는 비법의 약을 만들어 사용했다. 어느 날 지나던 과객이 그 기술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