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세혁 전무 진정서 파문
위원장 3인 김 전무 “부정 폭로” 정부기관, 체육단체, 언론사 등 10여 곳에 접수...김 전무 “정치적 음해”
지난해 12월 26일 KTA 기술전문위원회 전정광(겨루기 심판위원장), 권영호(겨루기 경기위원장), 최유림(품새 질서대책위원장) 3인이 김 전무이사의 부정을 고발하는 내용으로 진정서를 작성해 청와대, 국민권익위원회, 국민신문고, 문화체육관광부, 대한체육회, 대한태권도협회, 문대성 국회의원 등에게 각각 발송했다고 밝혔다.
진정서에 따르면 품새 국가대표 선발전 및 파견과 관련해 징계 대상 선수가 선발전에 출전해 국가대표로 선발된 점 그리고 김 전무가 강압적으로 심판을 교체토록 해 월권행사를 했다는 점, 지난 우수선수선발전 대회 마지막 날인 여자 두 체급 결승전에서 선수와 관계없이 기권을 강요토록 압력 행사해 기권한 사실이 있다며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김 전무는 지난 31일 오전 “품새 선발전 의혹과 관련해서는 당시 자체 상벌위를 구성해 선수들이 부당한 피해를 입지 않도록 징계수위를 낮추었기 때문에 전혀 불법이 아니다”
또한, 김 전무는 “심판부 구성은 당시 몇몇 심판 명단을 전달한 사실은 있으나 박흥신 기전의장, 전정광 심판위원장과 협의해 문제가 있다고 판단된 심판 명단을 뺏기 때문에 전혀 월권이 아니다. 강제로 그 사람들을 넣었다면 문제겠지만 협의해서 뺏는데 무슨 월권이냐며 강하게 반발했다” 그리고 “우수대회 결승전 선수 기권지시 주장은 해당 팀 코치들이 먼저 찾아와 부상 및 최종선발전 티켓이 있어 기권을 하겠다고 말해 허락한 것뿐이다. 임원장의 역할을 한 것이지, 내가 기권시킨 것이 아니다. 또 월권행위가 아니다”고 반박했다.
김 전무는 끝으로, “부정이나 죄가 있다면 사법기관에서 판단할 것이다. 하지만 정치적으로 음해하기 위해 여러 기관이나 단체 그리고 언론에까지 사실이냔 유포시킨다면 태권도 폐단이 될 것으로 본다.” 또 이 모든 것이 남탓이 아닌 김 전무 자신의 부덕의 소치라고 말하며 태권도가 거듭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심정을 밝혔다.
한편, 김태환 회장은 진정서 파문과 관련, 김 전무에게 오는 10일 전까지 진상조사 결과를 보고하라고 지시했다.
댓글 쓰기
댓글 작성을 선택하시고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