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淸河칼럼>꼼수로 민족의 자존마저 잃을 참인가



   
 

런던 올림픽에 출전하고 있는 국가대표 선수들의 메달을 향한 집념은 상상을 초월한다. 체력과 기량을 끌어올리기 위해 몇 년씩 극한 훈련을 소화해 내며, 담력을 키우려고 운동복에 뱀을 넣고 훈련하는 경우도 있다.

선수들의 몸은 성한 곳이 없다. 어마어마한 훈련량을 소화시키고 격렬한 경기를 수없이 치르느라 크고 작은 부상을 달고 산다. 그런데도 경기에만 나서면 아픔을 거의 느끼지 못한다. 투지가 고통을 압도한 것이다.

미국 시카고의 한 의사가 역대 올림픽에 참가했던 대표선수 198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세계 정상에 오를 수만 있다면 약물 복용도 불사하겠다’고 대답한 선수가 195명에 달했다. 또 반 이상이 ‘부작용으로 5년 뒤 죽는다해도 들키지만 않으면 약물을 복용하겠다’고 응답했다.

흥미로운 건 심리적 만족도에서 동메달이 은메달을 앞선다는 점이다. 미국 코넬대 연구진이 바르셀로나 올림픽 때 TV로 중계된 선수들의 표정을 통해 감정상태를 살펴봤더니 경기 종료와 함께 은메달이 확정된 선수의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4.8점인 반면 동메달리스트는 7.1점이나 됐다.

시상식에서도 동메달 만족도는 5.7점으로 은메달의 4.3점에 비해 높게 나왔다. 은메달을 딴 선수에게는 금메달이 만족의 기준이 되지만 동메달리스트에게는 노 메달이 기준이 되기 때문이란다. 메달에도 미묘한 심리 메커니즘이 작용한다는 의미다.

‘1초 오심’으로 결승 진출이 좌절된 신아람 선수에게 ‘공동 은메달 수여’를 추진하는 방안이 거론돼 논란이 일고 있다. 대한체육회가 국제펜싱연맹(FIE)의 동의를 얻어 국제올림픽위원회(IOC)에 공동 은메달을 달라고 요청하는 방안을 논의했다는 거다. 오심에 대해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는 대한체육회가 이를 만회하기 위한 아이디어로 내놨다고 한다. 하지만 FIE가 동의한다면 판정 번복이라는 다른 차원의 문제로 번지는 만큼 실현 가능성이 낮고, 자칫 ‘떼쓰기’로 비칠 우려가 있다는 반론이다.

메달은 선수들의 땀과 눈물과 꿈이 고스란히 담긴 결정체다. 신아람 선수는 터무니 없는 오심으로 큰 상처를 받았지만 세계 스포츠 팬들의 위로와 격려로 마음을 추스르는 중이다. 정면대응이 아니라 공동 은메달 같은 편법을 쓰다가는 당사자에게 또다른 상처를 주는 것은 물론 민족의 자존마저 잃게 될지 모른다. 

저널리스트로서가 아닌, 스포츠맨의 한사람으로서 대한체육회의 신중하고도 현명한 선택을 요구하는 바이다.

댓글 쓰기

Photo News

더보기